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멀미 원인과 증상, 대처법

by ㅨㅱㅹㆁㆄ 2021. 11. 19.

차를 타고 이동을 할 때 멀미를 하게 되면 정말 미칠 듯이 힘이 듭니다. 울렁거림과 어지러움 등 멀미 증상이 나타나면 괴로운걸 말로 표현할 수 없지요. 멀미를 잘하는 저도 멀미의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하였는데요. 오늘은 멀미 원인과 증상,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멀미 증상

생각만 해도 상당히 고통스러운 멀미는 다양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어떤 증상들이 있는지 이야기해볼게요.

 

  1. 속 울렁거림
  2. 두통
  3. 구토
  4. 식은땀
  5. 어지러움
  6. 시야 흐려짐
  7. 메스꺼움
  8. 피로감

정말 다양한 증상들이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구토, 속 울렁거림, 어지러움, 두통이 있습니다. 한번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점차 심해져 구토를 하게 됩니다.

 

멀미 원인

이렇게 힘든 멀미를 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귀 안쪽에 세반 고리관이라는 조직이 있습니다. 이 조직은 우리 몸의 움직임, 위치, 자세를 감지하여 평형을 유지시킨다고 해요. 이러한 세반 고리관이 극심한 자극을 받게 되면 위, 장, 심장, 폐 등에 영향을 주게 되어 울렁거림, 메스꺼움, 구토 등의 멀미를 유발한다고 합니다.  

 

멀미를 유발하는 요인

  • 움직이는 차 안에서 핸드폰, 책 등을 보는 것.
  • 환기를 시키지 않아 이산화탄소가 쌓여 멀미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운전 속도의 변동이 많은 경우.
  • 귀에 병이 있는 경우.
  • 찐한 향.
  • 몸이 피로한 경우.

 

멀미 대처방법

멀미에 대처하는 방법은 차 안의 공기 순환을 위해 창문을 내려 환기를 시키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가까운 곳을 보는 것보다 멀리 보는 것이 좋으며, 자극이 될만한 냄새를 없애는 것 또한 좋습니다. 그리고 차에서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멀미가 심한 경우 30분에서 1시간 전에 미리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붙이는 멀미약을 사전에 붙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멀미약은 졸음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섭취를 하지 않아야 하며 임산부, 배뇨장애, 전립선 비대증 환자, 녹내장이 있는 사람도 멀미약 섭취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멀미 원인과 증상,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한번 멀미를 시작하게 되면 잘 멈추지가 않는데요. 차에 내려서도 증상이 오래가는 경우가 있어 힘들 때가 있어요. 그러니 차를 장시간 타야 하는 경우에는 멀미약을 미리 복용하거나 멀미약 스티커를 붙이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