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사서 운행을 하는데 썬팅(틴팅)은 필수요소 중 하나인데요. 썬팅이 없으면 햇빛이 유리를 통해 바로 들어오므로 눈이 부셔 운전을 하는데 불편함을 줍니다. 이것 이외에도 자외선을 차단하고 열 차단, 차량 내부 변색 방지 등의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자동차 썬팅(틴팅) 농도와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 가시광선 투과율 선택하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썬팅의 농도를 이야기합니다. 썬팅 농도를 선택하려고 할 때 무슨 뜻인지 모를 수 있는데요. 썬팅이 진하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은 것이고 썬팅이 연하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것이라고 해요. 전면을 30%, 측면과 후면을 15%로 시공을 했다면 전면은 가시광선이 30%만 실내로 들어오는 것이고 측면과 후면은 가시광선이 15%만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말합니다. 밖에서 안이 보이는 게 싫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너무 낮게 해서 진하게 썬팅을 하게 되면 햇빛이 좋은 날씨에는 잘 보이지만 햇빛이 없는 흐린 날과 비 오는 날, 밤에는 잘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초보의 경우 너무 어둡게 하면 흐린 날과 밤에 잘 보이지 않아 운전하기가 힘들겠죠?
참고 : 같은 농도의 가시광선 투과율이라고 해도 각 브랜드마다 필름이 다르기 때문에 진하기가 다를 수가 있어요. 친구와 자신이 다른 브랜드이지만 똑같은 농도로 시공을 했지만 친구의 차는 더 연하고 자신의 차가 더 진할 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시공할 브랜드의 필름을 직접 시공업체에 가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2. 총에너지 차단율 TSER 수치 결정하기
TSER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태양에너지를 얼마나 차단 가능한지 나타내는 수치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TSER 수치가 높은 필름은 열이 차량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더운 여름에 시원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해요.
TSER의 구성요소에는 자외선 차단율, 가시광선 투과율, 적외선 차단율 있는데요. 적외선 차단율이 높고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을수록 TSER 수치가 올라간다고 합니다. 이 TSER 수치가 높으면 더 좋은 필름인데요. 보통 50% 이상의 TSER 수치를 가지고 있는 필름이 사용하기 괜찮은 필름이라고 해요. 더 올라갈수록 성능은 좋아지겠지만 가격이 더 비싸지기 때문에 50%만 해도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는 필름이라고 합니다.
3. 열 반사 필름과 열 흡수 필름 선택
열 반사 필름과 열 흡수 필름이 있는데요. 열 반사 필름은 금속 물질이 들어있어서 열을 반사시키는 필름을 이야기 하는데요. 검은색이 아니라 색이 들어있는 화려한 색을 가지고 있는 필름이 열 반사 필름에 속한다고 해요. 열을 반사하기 때문에 차 온도를 내리는데 효과적이고 이 필름은 금속 재질이 있어서 전파 방지를 해 하이패스나 아파트 주차장 출입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했으나 요즘은 기술이 좋아져서 문제가 많이 줄었다고 해요. 그리고 열 흡수 필름은 우리가 흔히 아는 검은색을 가지고 있는 필름이에요. 이 필름은 적외선을 흡수하고 시간이 지나면 열을 방출을 하고 하이패스나 아파트 주차장에 출입할 때 출입장치에 장애를 주지 않는다고 해요.
4. 썬팅 보증기간 확인하기
썬팅에도 보증기간이 있는데요. 보증기간 안에 썬팅에 문제가 생긴다면 썬팅에 생긴 문제를 해결해주는데요. 썬팅의 브랜드와 종류마다 보증기간이 다르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시공할 썬팅의 보증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을 하시고 문제가 생겼을 시를 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자동차 썬팅(틴팅) 농도와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흔히 선택하는 국민 농도는 전면 30~35%, 측후면 15% 인데요. 전면은 항상 보고 운전을 해야 하는 유리이기 때문에 조금 연하게 하고 운전을 할 때 다소 조금 보는 옆유리는 조금 더 진하게 합니다. 사람마다 시력이 다르고 밖이 잘 보이는 것이 좋은 사람이 있기 때문에 국민 농도라고 하는 30~35, 15는 다소 어둡게 보일 수도 있어요. 저도 차를 출고하여 썬팅 시공을 받았을 때 35에 15로 시공을 하였는데요. 이전 차와 다른 브랜드로 시공을 했더니 같은 농도였는데도 덜 어둡더라고요. 각 브랜드에서도 필름 등급에 따라 진하기가 다르다고 하니까 시공할 필름은 시공 샵에 가셔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