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친구가 저한테 주택청약 통장에 매달 10만 원 납입하고 있냐고 물어보더라고요. 저는 당당하게 매달 2만 원씩 최저로 납입하고 있다고 말하니 다음 달부터 당장 10만 원 납입을 하라고 하더라고요. 이유가 무엇 때문이었을까요?
주택청약통장 최저 납입 금액 2만 원에서 최대 납입금액 50만 원
주택청약통장은 매달 최저 2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까지 납입을 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횟수만 채우자는 생각으로 최저 금액인 2만 원만 납입하고 있었는데요. 이 말을 들은 친구는 다음 달부터는 10만 원을 납입하라고 안타까움이 묻어나는 표정으로 말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자세한 내용을 들어보니 내용은 이랬습니다.
국민주택(공공분양)에 대한 상세한 내용.
- 국민주택(공공분양)이란? : 국가, 지자체, LH 및 지방공사가 분양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
- 국민주택의 1순위 조건(가입기간과 납입 횟수의 조건)
<1순위 조건> 가입기간 납입 횟수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2년 24회 수도권 1년 12회 수도권 외 지역 6개월 6회 - 국민주택의 경우 월 1회 납입금을 10만 원까지 인정해 줍니다.
공공분양의 경우 40제곱미터를 초과하는 주택의 경우 당첨자를 뽑을 때 납입 금액이 많은 순서로 선정한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매달 2만 원을 납입하면 안 되고 최대 인정금액인 10만 원을 입금해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만약 공공분양을 생각하시고 매달 2만 원씩 납입을 하고 계신 분들은 매달 10만 원을 넣으신 분들과 청양 경쟁을 하게 됩니다. 그럼 당연히 매달 10만 원을 납입하신 분들에게 밀릴 수밖에 없겠죠?
민영주택(민간분양)
- 민영주택이란?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자이 등 민간 건설사에서 분양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
- 민영주택 지역과 가입기간
지역 가입기간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 대상지역 2년 수도권 1년 수도권 외 지역 6개월 - 민영주택의 경우 국민주택과 청약 1순위 조건이 다릅니다.
-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하고 24개월 경과.
- 예치기준금액 충족.
- 거주지역별 민영주택 청약 예치기준 금액
구분 서울 - 부산 기타 광역시 시-군지역 85m2 이하 300만 원 250만 원 200만 원 102m2 이하 600만 원 400만 원 300만 원 135m2 이하 1,000만 원 700만 원 400만 원 모든 면적 1,500만 원 1,000만 원 500만 원
- 민영주택의 경우 납입금액, 횟수가 많다고 더 잘 뽑히거나 그러지 않는다고 합니다.
- 민영주택의 가점제는 무주택 기간, 청약저축통장 가입기간, 부양가족수를 기준으로 점수를 산정.
[민영주택 가점제] 가점 구분 총점 무주택기간 최장 15년 시 32점 부양가족수 최대 6명 이상 시 35점 가입기간 최장 15년 이상 시 17점 총점 84점 만점 - 민영주택의 경우 개설 당시 납입을 한 후 그대로 뒀다가 청약 신청을 할 때 예치기준금액을 한 번에 넣어도 청약 자격이 주어진다고 합니다.
친구에게 매달 10만 원씩 납입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자세하게 들어보니 그래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민영주택을 청약할 거라면 10만 원씩 납입하는 게 해당되지 않지만 저는 민영주택, 국민주택 둘 다 염두에 두고 있어서 10만 원식 납입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든 집 마련을 위한 30대들의 희망! 청약 당첨을 위해서는 이런 정보도 잘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아요. 저와 같이 민영주택도 생각하고 있었는데 매월 2만 원씩 납입하고 있었다면 조금의 희망마저도 사라지잖아요.. 저와 같은 이들이 없기를 바라며 30대 파이팅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