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상풍 증상과 원인, 치료, 예방접종에 대해서

by ㅨㅱㅹㆁㆄ 2021. 11. 8.

파상풍은 녹슨 물건에 의해 상처를 입어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는 감염성 질환인데요. 파상풍은 이것 이외에도 다양한 이유에 의해 감염이 될 수 있다고 해요. 지금까지 1개의 원인만 알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다양한 원인이 있더라고요. 오늘은 파상풍 증상과 원인, 치료, 예방접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 파상풍이란?

파상풍은 균에 의해 감염되어 생기는데요. 우리가 다치게 되어 상처가 생긴 부위에 파상풍을 만들어 내는 파상풍균이 침투와 번식을 하여 신경 독소를 만들어 냅니다. 이 신경 독소는 신경 세포에 작용해 근육을 수축되게 만들고 통증, 경련성 마비 증상을 일으킵니다. 파상풍은 감염성 질환이고 하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파상풍에 걸리는 원인은 낡고 녹슨 물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제외하고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 파상풍이 걸릴 수 있다고 해요. 파상풍에 걸려 사망할 확률은 10%에서 90%로 다양하고 유아와 고령자가 파상풍에 감염이 되면 치료 결과가 좋지 않다고 합니다.

 

2. 파상풍 증상에 대해서

파상풍균에 감염이 되면 바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잠복기를 거쳐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3일에서 21일 사이에 파상풍 감염 증상이 나타나며 사람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보통 14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잠복기가 짧아서 빨리 증상이 나타날수록 경과가 별로 좋지 않다고 해요. 몸의 중추 신경계에서 파상풍균의 감염 부위가 멀을 수록 잠복기가 더 길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근육 수축 증상이 나타나 경련과 경직이 나타난다고 해요. 그리고 혈변, 설사,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파상풍 원인에 대해서

파상풍은 파상풍균이 몸에 상처가 난 곳에 침투를 하여 독소를 만들어 생기는데요. 그 원인으로는 첫 번째, 오래된 녹슨 물건에 상처가 발생하였을 때 파상풍균이 상처를 통해 침투한 경우. 두 번째, 파상풍 균을 가지고 있던 동물의 분변이나 흙, 먼지, 나무 조각 등의 균이 있던 것을 만져 감염이 생긴 경우. 세 번째, 동물에게 상처를 입은 경우. 네 번째, 오염된 바늘, 피어싱 도구, 비위생적인 수술도구 등에 의해 감염된 경우. 다섯 번째, 큰 상처가 아닌 외관상 뚜렷하지 않은 상처를 통해 감염이 된 경우. 여섯 번째, 화상을 입어 균이 감염된 경우. 우리가 흔히 아는 녹슨 철에 상처를 입어 파상풍이 생긴다고만 알고 있었는데요. 이것 이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인해 파상풍균에 감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4. 파상풍 치료방법

파상풍균에 감염이 되어 파상풍이 걸리게 되면 정맥주사를 통해 독소를 제거하는 약물치료를 합니다. 상처를 소독하고 괴사가 있을 경우 괴사 부위를 제거하고 증상에 따라 근육 이완제, 호흡 관리 등의 치료를 합니다. 치료를 하는 동시에 예방접종도 같이 한다고 하네요. 보통 치료를 하면 경련 증상의 경우 10일에서 14일이 지나면 나아지기 시작해서 최대 2주가 지나면 사라지지만 다른 모든 증상이 회복되려면 2개월 이상 소요될 수 있다고 합니다. 

 

 

 

5. 파상풍 예방접종에 대해서

파상풍 예방접종은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저도 파상풍 예방접종을 했는지 확인을 해보니 접종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이 되는데요. 파상풍을 접종해야 하는 대상으로는 생후 2개월부터 만 11세~12세까지 예방접종을 시행하며 파상풍 예방접종을 한 후 10년 이상이 지난 사람, 40세 이상 성인이 접종이력이 없는 사람, 상처가 난 환자 중 자신이 예방접종을 했는지 모르는 경우 또는 예방접종 이력이 없는 사람, 파상풍균에 감염될 가능성이 많은 직업 등이 있다고 해요. 파상풍 예방접종은 이러한 대상 외에도 예방차원에서 맞는 것이 좋습니다.

 

파상풍 증상과 원인, 치료, 예방접종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파상풍에 대해 자세히 알고 나니 예방접종을 하러 가야겠다는 생각이 첫 번째로 드네요. 가끔 쇠붙이에 상처가 생기면 파상풍이 걸리는 게 아닐까 걱정이 되기도 하는데요. 예방접종을 한다고 감염이 되지 않는 건 아니지만 가능성을 낮추어 주니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입니다. 혹시나 파상풍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신 분이시라면 예방접종을 하시는 게 어떨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