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음의 질병 화병 원인과 예방방법

by ㅨㅱㅹㆁㆄ 2021. 11. 4.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열을 많이 받다 보면 화병이 난다고 하는데요. 주원인은 스트레스이며 주변 환경에 의한 이유가 커 다양한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고 해요. 마음을 계속 억누르다 보면 분노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게 되어 몸과 마음이 힘들게 됩니다. 오늘은 마음의 질병 화병 원인과 예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 마음의 질병 화병이란 무엇인가?

화병이란 스트레스를 받아 화 또는 우울함 등을 분출하지 않고 억눌러 억압된 화가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화병이 생기게 되면 다양한 증상이 생기는데요. 명치의 답답함, 우울, 식욕저하, 불면증, 피로, 호흡곤란의 증상이 생기기도 하며 몸의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 죽을 것 같은 공포를 느끼기도 한다고 해요. 우리는 답답한 상황이 오거나 화가 엄청난 상황이 오면 가슴을 두드리며 화병이 날 거 같다고 하는데요. 마음의 분노를 참고 쌓이고 쌓이다 보면 화병이라는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2. 화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화병의 원인은 스트레스입니다. 생활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아 분노가 생기면 그것을 억누르고 참다 보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게 되며 다양한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화병은 한국에만 있는 정신적 질환이라고 하는데요. 한국 문화적이 배경에 의해 화병의 영향이 있는 것 같다고 합니다. 미국의 정신의학회의 DSM에서는 화병을 한국 민족 증후군의 하나인 분노 증후군이라고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3. 화병을 예방하는 방법.

화병은 분노를 받는 것을 억눌러서 생기는 정신적 질환인데요. 이러한 화병이 생기지 않게 예방하려면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화를 풀어줄 수 있는 운동 등의 취미생활이 있으면 좋습니다. 그리고 분노가 생기는 일에 대해서 마음에 쌓아 두지 말고 가까운 친구나 가족에게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화병의 증상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거나 힘들다고 생각이 들면 정신과에 가서 치료를 방법도 있습니다. 약물과 정신치료로 화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 항우울제를 복용하여 화병의 증상인 우울, 불안, 불면 등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정신치료를 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4. 화병 자가진단.

자신에게 화병이 있는지 자가진단을 해볼 수 있는 문항들이 있습니다. 

  • 머리가 아프고 잠에 들기 힘든 적이 있다.
  • 가슴이 너무 답답하고 숨을 쉬기 힘든 적이 있다.
  • 가슴이 두근거리는 게 심하고 입과 목이 마르는 것을 자주 느낀다.
  • 분노가 치밀고 마음속에 응어리가 있는 느낌이 든다.
  • 한숨을 자주 쉰다.
  • 필요 없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 우울함이 들고 삶이 허무하다고 느껴진다.
  • 깊게 잠들지 못하고 자주 깨게 된다.
  •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리기도 한다.
  • 얼굴에 열감이 느껴진다.
  • 이유 없이 화가 난다.

 

 

 

마음의 질병 화병 원인과 예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화병은 분노를 억압해서 생기는 마음의 질병인데요.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마음속에 화가 쌓이게 되다 보면 마음속에 화병이라는 것이 생겨 우울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 같아요. 화난 마음이 생기면 자신의 마음을 풀어줄 수 있는 무언가 하나쯤 있다면 정말 좋을 것 같네요. 

댓글